간호조무사 시험 과락 기준 | 합격률 | 과목별 과락자수 안내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 기준 및 연도별 합격률과 과락자 수에 대해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은 전체 점수가 합격 커트라인 점수를 넘더라도 4과목 중 한 과목이라도 기준 점수에 미달하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따라서 모든 과목에서 기본 점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조무사-시험-과락-기준-안내

간호조무사 시험 합격 기준

간호조무사 시험은 총 4과목, 105문제가 출제되며, 모든 문제가 객관식 5지선다형 입니다. 각 문제당 배점은 1점이며, 총점은 105점입니다.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 기준

간호조무사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전 과목 총점의 60% 이상을 득점하고, 과목별로 만점의 40%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 만약 총점이 63점 미만이면 평락, 한 과목이라도 만점의 40%를 넘지 못하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 합격 기준

  • 전 과목 총점의 60% 이상 득점 (총점 105점 중 63점 이상)
  • 매 과목 만점의 40% 이상 득점

✅ 평락(전체 점수 부족): 전 과목 총점의 60% 미만 득점

✅ 과락 (과목별 점수 부족): 한 과목이라도 만점의 40% 미만 득점

과목별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 기준표

간호조무사 시험에서 총점이 63점 이상이더라도 4과목 중 어느 한 과목이라도 과락 기준 점수에 미달하면 불합격입니다. 아래 표에서 과목별 과락 기준을 확인하세요.

과락 기준 점수는 각 과목에서 합격을 위해 반드시 맞춰야 하는 최소 문항 수를 의미합니다.

시험과목 문제수 (만점) 과락 기준 점수
기초간호학 35문제 14문항 (35×40%)
보건간호학 15문제 6문항 (15×40%)
공중보건학 20문제 8문항 (20×40%)
실기 35문제 14문항 (35×40%)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 비율

간호조무사 시험에서 과락으로 불합격하는 비율은 약 0.4%에 불과한 반면, 평락으로 불합격하는 비율은 약 15.7%로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연도별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자 수

연도별 간호조무사 시험의 평락 및 과락자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다 자세한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통계자료는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홈페이지 > 시험정보 > 출제자료 > 국가시험 분석결과】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차수 평균성적 평락자수 (비율) 과락자수 (비율)
2024 상반기 79.7점 1,520명 (9.3%) 20명 (0.1%)
2023 하반기 72.6점 3,100명 (20.3%) 93명 (0.6%)
2023 상반기 78.0점 2,407명 (14.9%) 166명 (1.0%)
2022 하반기 76.2점 2,954명 (16.6%) 74명 (0.4%)
2022 상반기 73.9점 3,784명 (17.2%) 93명 (0.4%)
2021 하반기 77.6점 2,618명 (12.4%) 139명 (0.6%)
2021 상반기 76.4점 2,937명 (14.1%) 55명 (0.2%)
2020 하반기 81.8점 1,608명 (7.6%) 103명 (0.5%)
2020 상반기 74.9점 3,039명 (14.7%) 111명 (0.5%)
2019 하반기 75.9점 2,768명 (14.1%) 21명 (0.1%)
2019 상반기 72.2점 3,864명 (18.3%) 71명 (0.3%)
2018 하반기 69.2점 4,369명 (22.2%) 41명 (0.2%)
2018 상반기 74.7점 3,161명 (13.6%) 93명 (0.4%)
2017 하반기 69.6점 5,196명 (24.8%) 34명 (0.2%)

과목별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자 수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은 응시자 수와 시험 문항 난이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건간호학과 공중보건학 과목에서 과락으로 불합격하는 경우가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다음은 2017년 하반기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의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자 수를 과목별로 정리한 표입니다.

차수 기초간호학 보건간호학 공중보건학 실기
2024 상반기 14명 4명 2명
2023 하반기 1명 92명
2023 상반기 8명 150명 1명
2022 하반기 57명 8명 9명
2022 상반기 16명 76명 1명
2021 하반기 74명 64명
2021 상반기 50명 3명 2명
2020 하반기 95명 3명 5명
2020 상반기 26명 85명
2019 하반기 5명 4명 12명
2019 상반기 3명 1명 66명 1명
2018 하반기 39명 1명 1명
2018 상반기 25명 67명 1명
2017 하반기 2명 11명 21명

간호조무사 시험 합격률

2011년 상반기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간호조무사 시험의 평균 합격률은 약 82% 수준입니다.

2025 간호조무사 합격률

2025년 상반기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에서는 16,531명 중 14,679명이 합격하여 88.8%의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4년 하반기 합격률보다 0.4% 높은 수치지만, 2024년 상반기보다는 1.8% 낮은 결과입니다.

구분 2025 상반기 2024 하반기 2024 상반기
합격률 88.8% 88.4% 90.6%
응시인원 16,531명 15,428명 16,370명
합격인원 14,679명 13,639명 14,830명

연도별 간호조무사 시험 합격률

최근 5년간(2020년 상반기~2025년 상반기) 간호조무사 시험 평균 합격률은 약 86%로, 2023년 하반기에는 79.1%로 다소 감소했지만, 전체적으로 80~90%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수 응시인원 합격인원 합격률
2025 상반기 16,531명 14,679명 88.8%
2024 하반기 15,428명 13,639명 88.4%
2024 상반기 16,370명 14,830명 90.6%
2023 하반기 15,305명 12,112명 79.1%
2023 상반기 16,156명 13,583명 84.1%
2022 하반기 17,840명 14,812명 83.0%
2022 상반기 22,075명 18,198명 82.4%
2021 하반기 21,206명 18,449명 87.0%
2021 상반기 20,863명 17,871명 85.7%
2020 하반기 21,052명 19,341명 91.9%
2020 상반기 21,101명 17,897명 84.8%
2019 하반기 19,571명 16,782명 85.7%
2019 상반기 21,027명 17,092명 81.3%
2018 하반기 19,648명 15,242명 77.6%
2018 상반기 23,241명 19,987명 86.0%
2017 하반기 20,932명 15,693명 75.0%
2017 상반기 22,397명 18,340명 81.9%
2016 하반기 24,855명 20,900명 84.1%
2016 상반기 27,180명 16,269명 59.9%
2015 하반기 25,476명 15,402명 60.5%
2015 상반기 24,797명 15,901명 64.1%
2014 하반기 21,913명 17,726명 80.9%
2014 상반기 22,936명 19,867명 86.6%
2013 하반기 19,085명 16,780명 87.9%
2013 상반기 19,839명 17,484명 88.1%
2012 하반기 16,598명 14,700명 88.6%
2012 상반기 19,923명 17,023명 85.4%
2011 하반기 16,460명 14,005명 85.1%
2011 상반기 21,338명 18,722명 87.7%

간호조무사 시험 출제 범위

간호조무사 시험의 출제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해당 출제 범위는 2025년 상반기부터 별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적용되며, 간호조무사 시험 과락을 피하려면 이를 기반으로 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기초간호학 (35문항, 과락 기준 14문항)

간호조무사-시험-기초간호학-과락-기준

기초간호학은 과락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과목이지만,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조무사 시험에서 총점이 63점을 넘었더라도 기초간호학에서 35문제 중 맞춘 문제수가 14개 미만이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1. 간호관리
  2. 기초해부생리
  3. 기초약리
  4. 기초영양
  5. 기초치과
  6. 기초한방
  7. 기본간호
  8. 성인관련 간호의 기초
  9. 모성관련 간호의 기초
  10. 아동관련 간호의 기초
  11. 노인관련 간호의 기초
  12. 응급관련 간호의 기초

보건간호학 (15문항, 과락 기준 6문항)

간호조무사-시험-보건간호학-과락-기준

간호조무사 시험에서 총점이 63점을 넘었더라도 보건간호학에서 15문제 중 맞춘 문제수가 6개 미만이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1. 보건교육
  2. 보건행정
  3. 환경보건
  4. 산업보건

공중보건학 (20문항, 과락 기준 8문항)

간호조무사-시험-공중보건학-과락-기준

간호조무사 시험에서 총점이 63점을 넘었더라도 공중보건학에서 20문제 중 맞춘 문제수가 8개 미만이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1. 질병관리사업
  2. 인구와 출산
  3. 모자보건
  4. 지역사회보건
  5. 의료관계법규

실기 (35문항, 과락 기준 14문항)

간호조무사-시험-실기-과락-기준

간호조무사 시험에서 총점이 63점을 넘었더라도 실기에서 35문제 중 맞춘 문제수가 14개 미만이면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됩니다.

【병원간호실기학】

  1. 활력징후
  2. 감염관리
  3. 호흡유지
  4. 영양과 배설
  5. 상처와 골절
  6. 개인위생
  7. 활동관리
  8. 체온유지
  9. 진단검사와 수술
  10. 기도폐쇄와 심정지 대처
  11. 환자관리와 의사소통
  12. 임종 간호

▼ 카테고리 다른 글

간호사 국가고시 합격률 안내 | 과락・평락・합격 기준

PA 간호사 뜻, 업무 범위, 자격 취득 방법 안내 (PA간호사 되는 법)

보건소 독감주사 가격 | 병원 독감 예방 접종 비용 | 안내

혀 깨물었을 때 병원 치료 및 올바른 연고 사용 방법

목에 가시 걸렸을 때 병원 진료과 및 비용, 응급처치 방법, 주의사항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