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 코드번호 및 조회 방법 총정리 안내

국내 은행 코드번호 및 조회 방법을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최근에는 금융 시스템이 자동화되면서 은행 코드번호를 직접 입력할 일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ARS 전화 송금, 해외 송금, 일부 CMS 자동이체 등록, 복잡한 금융 서류 작성 시에는 국내 은행 코드번호 입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국내-은행-코드번호-안내

은행 코드번호란?

은행 코드번호는 금융거래 시 각 은행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숫자로 이루어진 코드입니다. 마치 주민등록번호처럼 모든 은행은 자신만의 고유한 코드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송금, 자동이체, 금융 서류 작성 등 다양한 금융 활동에서 사용됩니다.

국내 은행 코드번호 목록

아래는 국내 주요 은행의 코드번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한 표입니다. KB국민은행의 코드번호는 004이고, 신한은행은 088, KEB하나은행은 081, 우리은행의 코드번호는 020입니다.

 

저축은행은 상호저축은행의 코드번호인 050을 공동으로 사용합니다. 전국 저축은행 현황 링크를 누르면, 상호저축은행에 등록된 저축은행 목록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은행 코드 은행명 은행 코드 은행명
001 한국은행 051 기타 외국계은행
002 KDB산업은행 052 모간스탠리은행
003 IBK기업은행 054 HSBC은행
004 KB국민은행 055 도이치은행
007 수협은행 057 JP모간체이스은행
008 수출입은행 058 미즈호은행
011 NH농협은행 059 엠유에프지은행
012 농축협 060 BOA은행
020 우리은행 061 비엔피파리바은행
023 SC제일은행 062 중국공상은행
027 한국씨티은행 063 중국은행
031 대구은행 064 산림조합중앙회
032 부산은행 065 대화은행
034 광주은행 066 교통은행
035 제주은행 071 우체국
037 전북은행 081 KEB하나은행
039 경남은행 088 신한은행
045 MG새마을금고 089 케이뱅크
048 신협 090 카카오뱅크
050 상호저축은행 092 토스뱅크

은행 코드번호 조회 방법 4가지

은행 코드번호는 한번 지정되면 해당 은행이 존속하는 한 잘 바뀌지 않습니다. 하지만 은행 간의 합병, 인수 또는 폐업과 같은 중대한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은행의 코드번호가 변경되거나 소멸될 수 있으므로, 항상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융결제원 홈페이지

금융결제원 홈페이지에서는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없이, 누구나 무료로 모든 국내 은행의 코드번호를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제공되는 은행 코드번호는 변동이 있을 때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항상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금융결제원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자료실] > [금융회사 코드 조회]를 선택합니다.

※ [자료실] 탭에서 [금융회사 코드 조회] 항목을 클릭하세요!!!
금융결제원-금융회사-코드-조회-메뉴-클릭

  1. ‘지점코드’ 탭에서 ‘대표코드 및 기관코드’ 옆에 있는 한글 또는 PDF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결제원-은행-코드번호-자료-다운로드

  1. ‘금융회사명’ 탭에서 은행명을 선택한 후 [조회] 버튼을 누르면, 해당 은행의 지점코드가 표시됩니다. 지점코드 앞 3자리 숫자가 해당 은행의 코드번호입니다.

※ 코드번호를 조회할 은행을 선택한 후,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금융결제원-은행-지점-코드번호-조회하기

은행 공식 홈페이지 및 앱

대부분의 은행은 공식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에서 코드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객센터 메뉴나 통합 검색, FAQ(자주 묻는 질문), 이용 안내 섹션을 참고하세요.

포털 사이트 검색

네이버, 다음, 구글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은행 코드번호’ 또는 ‘은행명+은행 코드번호”와 같이 검색하면 관련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정보의 최신성이나 정확도를 위해 출처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 고객센터 문의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경우, 해당 은행의 고객센터에 전화해 상담원에게 은행 코드번호를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상담원을 통해 정확한 안내받을 수 있으며, 궁금한 점이 있다면 추가 질문도 할 수 있습니다.

전국 저축은행 현황

저축은행은 상호저축은행의 코드번호인 050을 공동으로 사용합니다. 현재 전국에는 총 79개의 저축은행이 있으며, 각 저축은행은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라 본점이 위치한 지역을 기준으로 6개 권역 중 하나에서만 영업을 할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저축은행 (23개)

다음은 서울을 본점 소재지로 하는 저축은행 목록입니다.

  • 다올저축은행
  • 대신저축은행
  • 더케이저축은행
  • 민국저축은행
  • 바로저축은행
  • 스카이저축은행
  • 신한저축은행
  • 애큐온저축은행
  • 예가람저축은행
  • 웰컴저축은행
  • 유안타저축은행
  • 조은저축은행
  • 키움YES저축은행
  • 푸른저축은행
  • 하나저축은행
  • DB저축은행
  • HB저축은행
  • JT친애저축은행
  • KB저축은행
  • NH저축은행
  • OK저축은행
  • OSB저축은행
  • SBI저축은행

인천/경기 저축은행 (19개)

다음은 인천과 경기도를 포함하는 지역을 본점 소재지로 하는 저축은행 목록입니다.

  • 금화저축은행
  • 남양저축은행
  • 모아저축은행
  • 부림저축은행
  • 삼정저축은행
  • 상상인저축은행
  • 세람저축은행
  • 안국저축은행
  • 안양저축은행
  • 영진저축은행
  • 융창저축은행
  • 인성저축은행
  • 인천저축은행
  • 키움저축은행
  • 페퍼저축은행
  • 평택저축은행
  • 한국투자저축은행
  • 한화저축은행
  • JT저축은행

대전/세종/충남/충북 저축은행 (7개)

다음은 대전광역시와 세종시, 충청도 지역을 본점 소재지로 하는 저축은행 목록입니다.

  • 대명저축은행
  •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 아산저축은행
  • 오투저축은행
  • 우리금융저축은행
  • 청주저축은행
  • 한성저축은행

광주/전남/전북/제주 저축은행 (7개)

다음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도, 제주도 지역을 본점 소재지로 하는 저축은행 목록입니다.

  • 대한저축은행
  • 더블저축은행
  • 동양저축은행
  • 삼호저축은행
  • 센트럴저축은행
  • 스마트저축은행
  • 스타저축은행

대구/경북/강원 저축은행 (11개)

다음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강원도 지역을 본점 소재지로 하는 저축은행 목록입니다.

  • 대백저축은행
  • 대아저축은행
  • 대원저축은행
  • 드림저축은행
  • 라온저축은행
  • 머스트삼일저축은행
  • 오성저축은행
  • 유니온저축은행
  • 참저축은행
  • CK저축은행
  • MS저축은행

부산/울산/경남 저축은행 (12개)

다음은 부산광역시와 울산, 경상남도 지역을 본점 소재지로 하는 저축은행 목록입니다.

  • 고려저축은행
  • 국제저축은행
  • 동원제일저축은행
  • 솔브레인저축은행
  • 우리저축은행
  • 조흥저축은행
  • 진주저축은행
  • 흥국저축은행
  • BNK저축은행
  • DH저축은행
  • IBK저축은행
  • SNT저축은행

마무리 – 국내 은행 코드번호 총정리

지금까지 국내 은행 코드번호 및 조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은행 코드번호를 잘못 입력할 경우 송금 오류, 자동이체 실패, 해외송금 지연 등 다양한 금융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항상 최신 정보를 확인한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국내 은행 코드번호 목록

✔️ 은행 코드번호 조회 방법 4가지

✔️ 전국 저축은행 현황

안전한 금융 거래를 위해서는 항상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해당 금융기관에 직접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카테고리 다른 글

하나은행 통장사본 모바일 발급 방법 (인터넷뱅킹 발급 포함)

농협 통장사본 모바일 발급 방법 (PC 출력 포함 안내)

새마을금고 신협 출자금통장 해지 방법, 해지 준비물, 환급 기간 안내

다날채권관리팀 미납 문자 대처 방법 | 연체기준과 장기 미납 내역 조회 방법 안내

NICE 결제대행 거래내역 조회 방법 및 결제 취소 방법 3가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