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즘 뜻과 캐즘이 경제와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캐즘의 전반적인 개념을 성공 및 실패 사례를 통해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캐즘은 혁신적인 기술이 일반 소비자 선택을 받는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며, 이를 극복해야 제품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캐즘 뜻
캐즘(Chasm)은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이 대중화되는 과정에서 더 이상 인기를 끌지 못하고, 수요가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새롭게 출시된 제품에 관심이 많은 얼리어답터들은 미완성된 기술이라도 새로운 경험에 열려 있지만, 일반 소비자는 안정적이고 검증된 제품을 선호합니다. 이로 인해 대중들은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을 선뜻 구매하거나 선택하는 것에 주저할 수 있습니다.
캐즘 성공 사례
캐즘은 첨단 기술 제품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과제이며, 이를 잘 극복하면 오히려 더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아이폰 (iPhone)

아이폰 이전에도 PDA폰 처럼 PC 기능과 인터넷을 연결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대부분 캐즘 구간을 넘지 못해 대중에게 잊혀지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애플(Apple)은 ‘아이튠즈’와 ‘앱스토어’라는 강력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스마트폰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현재는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는 일류 기업이 되었습니다.
전자책 (e-Book)

전자책이 처음 나왔을 때 종이책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것이라는 기대를 한 몸에 받았지만, 화면을 장시간 봤을 때 느끼는 눈 피로감과 읽을만한 콘텐츠 부족 등으로 인해 캐즘 구간에 빠져 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아마존의 킨들(Kindle)과 다양한 전자책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눈의 피로감을 완화해 주는 흑백 잉크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되면서 캐즘을 극복하고 주류시장에 정착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넷플릭스 (Netflix)

넷플릭스는 DVD 렌탈 사업에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하면서 한동안 기술에 익숙한 사용자들만 사용하는 캐즘 단계에 빠지기도 했지만,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과감히 투자하고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지금은 주류 시장에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MP3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카세트 테이프와 CD 플레이어가 주류였고, MP3 파일을 쉽게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플랫폼까지 부족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멜론 등 음원 다운로드 플랫폼이 하나둘씩 생겨나고 기기 가격도 내려가면서, MP3 플레이어는 캐즘 구간을 극복하며 대중화에 성공하게 되었습니다.
전기차 (Electric Vehicle)

전기차는 출시 초기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인프라 부족과 높은 가격 문제 등으로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친환경 자동차 마케팅으로 이미지를 개선하고, 인프라 구축 및 보급형 모델 생산으로 가격을 낮추는 등의 노력을 계속하면서 주류 시장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주요국의 환경 규제 완화와 보조금 축소, 충전 불편함, 그리고 열폭주로 인한 리튬전지 화재 위험까지 부각되며 다시 성장세가 완화되는 등 전기차 캐즘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캐즘 실패 사례
혁신적인 신제품은 발표 초기에 소수의 얼리어답터들에게 인기를 얻더라도, 캐즘의 심리적, 구조적 장벽을 극복하지 못하면 대중에게 받아들여지기 전에 시장에서 사라질 수 있습니다.
세그웨이 (Segway)

세그웨이는 초기에 보편적인 운송 장치가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업계 관계자와 소비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습니다.
하지만 높은 가격과 애매한 속도, 그리고 실용성 부족 등으로 대중화에 실패했고, 지금은 산업용 또는 일부 관광지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등 여전히 캐즘 구간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구글 글래스 (Google Glass)

구글 글래스는 증강현실(AR) 기반의 스마트 안경으로 혁신적이었으나, 높은 가격, 짧은 배터리 수명, 화질 문제 등으로 대중에게 인기를 얻지 못했습니다.
구글 글래스는 증강현실(AR) 기반의 스마트 안경이라는 혁신적인 기술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과 짧은 배터리 수명, 열악한 카메라 화질 및 불규칙한 음성 인식, 그리고 사생활 침해와 보안 문제 등으로 대중화에 실패했습니다.
VR 헤드셋

VR 헤드셋은 가상현실 열풍과 함께 초기에는 관심을 받았으나, 화질과 발열 문제와 콘텐츠 부족으로 인해 주류 시장에 자리 잡지 못했습니다.
VR 헤드셋은 가상현실 열풍과 함께 초기에는 관심을 받았지만, 화질, 발열, 배터리, 가격, 콘텐츠 부족 등으로 인해 시장 전체가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의 늪에 빠져들었고,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위성 이동전화 이리듐

이리듐은 모토로라의 60억 달러 투자로 주목받았으나, 높은 가격, 통화 불편 등으로 캐즘을 넘지 못하고 대중화에 실패했습니다.
위성 이동전화 이리듐은 초기에 모토로라의 60억 달러 투자를 유치하는 등 성공적으로 런칭됐지만, 높은 가격, 건물 내 통화 불편 문제, 무겁고 투박한 기기 디자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캐즘 구간에 빠지면서 결국 대중화에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3D TV

3D TV는 초기에 혁신적인 기술로 각광 받았지만, 기대와 달리 3D안경 착용의 불편함, 3D로 즐길 수 있는 콘텐츠 부족, 3D 안경 착용 시 화질 저하 등이 문제 되면서 제대로 된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한 채 캐즘 단계에 빠져 시장에서 도태되고 말았습니다.
▼ 카테고리 다른 글
시그니처 뜻 3가지 – 생활 속 시그니처 의미 바로 알기
유어 아너 뜻 의미 바로 알기 (나라별 재판장 부르는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