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고학생부군신위 뜻과 의미, 제사 지방 쓰는법을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제사를 지낼 때 지방은 전통 예법에 따라 정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지방 맨 위에는 고인과 제주(祭主) 관계를 적고, 그다음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기재하며, 맨 끝에는 조상의 자리를 뜻하는 신위(神位)를 적습니다.

현고학생부군신위 뜻과 의미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제사 지방에 쓰는 위패 문구입니다.
현고학생부군신위 뜻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 의역하면, ‘존경하는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자손들이 제사상을 차리고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오셔서 자리해 주십시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제사 지방 문구 | 뜻과 의미 |
---|---|
현고(顯考) |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돌아가신 아버지를 뜻함 |
학생(學生) | ・고인의 생전 직위 ・평범한 일반 남성에게 붙이는 칭호 |
부군(府君) |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을 높여 부르는 말 |
신위(神位) | ・고인의 혼이 머무는 자리 ・위패, 신주 |
현고(顯考) 뜻
나타날 현(顯) / 죽은 아비 고(考)
제사 지방에서 현(顯)은 돌아가신 고인의 혼령이 제삿날에 나타나심을 뜻하며, 고(考)는 제주와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어머니를 기릴 때는 ‘현비(顯妣)’라고 적습니다.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 보다 윗사람이면 존경의 의미로 모두 현(顯)을 붙이고, 아랫사람한테는 첫머리에 현(顯)을 쓰지 않습니다.
학생(學生) 뜻
배울 학(學) / 날 생(生)
제사 지방에서 학생(學生)은 고인의 생전 직위를 나타냅니다. 고인이 돌아가시기 전 특별한 공직이나 높은 직급에 오르지 않았다면, 남성은 ‘學生(학생)’, 여성은 ‘孺人(유인)’으로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만약 고인이 생전에 공무원이나 고위 임원 등의 직책을 맡았다면, 가장 높은 직급을 지방에 기재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돌아가신 아버지가 군수였다면, ‘현고군수부군신위(顯考郡守府君神位)’라고 작성합니다.
부군(府君) 뜻
마을 부(學) / 임금 군(君)
제사 지방에서 부군(府君)은 돌아가신 아버지나 남자 조상을 높여 부르는 말로, 고인이 제주보다 윗사람임을 뜻합니다.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 보다 아랫사람이면 이름을 적습니다.
신위(神位) 뜻
귀신 신(神) / 자리 위(位)
제사 지방에서 신위(神位)는 고인의 혼령(魂靈)이 위치하는 자리를 뜻하며, 조상의 영혼이 제사를 지내는 동안 잠시 머물렀다가 다시 돌아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제사 지방 쓰는법
지방(紙榜)은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는 집안에서 차례나 기제사 때 임시로 사용하는 종이 위패로,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끝나면 즉시 태워서 소각해야 합니다. 한 번 사용한 지방은 재사용하지 않습니다.
제사 지방 용지, 규격

전통적으로 지방은 한지에 먹을 갈아 붓글씨를 써야 하지만, 실용적으로 붓펜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한지가 없다면,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A4용지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제사 지방 크기는 길이 22cm, 폭 6cm 입니다. 지방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평평하다(천원지방, 天圓地方)’는 의미를 담아 윗부분은 모서리를 접거나 잘라 각지지 않게, 아래는 평평하게 다듬어 사용합니다.
제사 지방 문구 위치

고인이 한 분일 경우, 지방 중앙에 한 줄로 작성합니다. 두 분 이상일 경우에는 ‘남좌여우(男左女右)’ 원칙에 따라 남성을 왼쪽, 여성을 오른쪽에 적습니다.
고인과의 관계 표기
제사 지방의 맨 위에는 고인과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를 적습니다. 아랫사람에게는 존경의 뜻을 담고 있는 현(顯)을 붙이지 않습니다.
고인과 제주(祭主) 관계 | 지방에 적는 표현 |
---|---|
돌아가신 아버지 | 현고(顯考) |
돌아가신 어머니 | 현비(顯妣) |
조부 (할아버지) | 현조고(顯祖考) |
조모 (할머니) | 현조비(顯祖妣) |
증조부 (증조할아버지) | 현증조고(顯曾祖考) |
증조모 (증조할머니) | 현증조비(顯曾祖妣) |
고조부 (고조할아버지) | 현고조고(顯高祖考) |
고조모 (고조할머니) | 현고조비(顯高祖妣) |
남편 | 현벽(顯辟) |
아내 | 망실(亡室), 고실(故室) |
형 | 현형(顯兄) |
형수 | 현형수(顯兄嫂) |
동생 | 망제(亡弟), 고제(故弟) |
자식 | 망자(亡子), 고자(故子) |
고인 직위 기재
제사 지방의 두 번째 줄에는 고인의 생전 직위나 직급을 적습니다. 공직, 학위, 직업 등을 반영해 상황에 따라 고인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직책을 생각해 유연하게 작성하면 됩니다.
【특별한 직위나 직급을 적지 않는 경우】
- 남성: 學生(학생)
- 여성: 孺人(유인)
【고인의 생전 직위를 반영할 경우】
- 공무원: 郡守(군수), 市長(시장), 長官(장관), 次官(차관) 등
- 학위 소지자: 博士(박사), 碩士(석사), 敎授(교수) 등
- 기능인 및 전문가: 名匠(명장), 技術者(기술자), 商工人(상공인), 醫師(의사) 등
- 기타: 企業家(기업가), 宗敎人(종교인) 등
고인 이름 표기
제사 지방의 세 번째 줄에는 고인의 이름을 적습니다. 보통 남성 조상은 부군(府君)으로, 여성 조상의 경우에는 본관과 성씨를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단,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 보다 아랫사람이면 이름을 직접 표기합니다.
【본관+성씨 한자 표기 예시】
본관+성씨 | 한자 표기 |
---|---|
경주 김씨 | 慶州金氏 |
경주 이씨 | 慶州李氏 |
경주 최씨 | 慶州崔氏 |
광산 김씨 | 光山金氏 |
김녕 김씨 | 金寧金氏 |
김해 김씨 | 金海金氏 |
밀양 박씨 | 密陽朴氏 |
안동 권씨 | 安東權氏 |
옥천 조씨 | 玉川趙氏 |
인동 장씨 | 仁同張氏 |
전주 이씨 | 全州李氏 |
진주 강씨 | 晋州姜氏 |
청주 한씨 | 淸州韓氏 |
파평 윤씨 | 坡平尹氏 |
평산 신씨 | 平山申氏 |
제사 지방 마지막 표기
제사 지방을 작성할 때 마지막 줄에는 ‘신위(神位)’ 또는 ‘지령(之靈)’ 문구를 적습니다.
‘신위(神位)’는 죽은 사람의 혼이 머무는 자리를 뜻하며, ‘지령(之靈)’은 갈 지(之) 자와 신령 령(靈) 자를 써서 고인의 영혼, 즉 혼령을 의미합니다.
제사 지방 문구 예시
제사 지방은 예법에 맞게 고인과 제주와의 관계, 고인의 생전 직위 등을 고려하여 다르게 작성해야 합니다.
부모 제사 지방
- 아버지: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
- 어머니: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顯妣孺人金海金氏神位)
조부모 제사 지방
- 할아버지: 현조고학생부군신위(顯祖考學生府君神位)
- 할머니: 현조비유인김해김씨신위(顯祖妣孺人金海金氏神位)
증조부모 제사 지방
- 증조할아버지: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顯曾祖考學生府君神位)
- 증조할머니: 현증조비유인김해김씨신위(顯曾祖妣孺人金海金氏神位)
고조부모 제사 지방
- 고조할아버지: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顯高祖考學生府君神位)
- 고조할머니: 현고조비유인김해김씨신위(顯高祖妣孺人金海金氏神位)
배우자 제사 지방
- 남편: 현벽학생부군신위(顯辟學生府君神位)
- 아내: 망실유인김해김씨신위(亡室孺人金海金氏神位)
형 내외 제사 지방
- 형: 현형학생부군신위(顯兄學生府君神位)
- 형수: 현형수유인김해김씨신위(顯兄嫂孺人金海金氏神位)
동생 내외 제사 지방
- 동생: 망제학생(이름)신위(亡弟學生이름神位)
- 제수: 망제수유인김해김씨신위(亡弟嫂孺人金海金氏神位)
자식 제사 지방
- 아들: 망자수재(이름)지령(亡子秀才이름之靈)
- 딸: 망녀수재(이름)지령(亡女秀才이름之靈)
며느리 제사 지방
- 며느리: 망부유인김해김씨지령(亡婦孺人金海金氏之靈)
▼ 카테고리 다른 글
제사 지내는 순서 | 기제사 지내는 방법 | 제례 상식
제사 지방 쓰는 법 | 제사 지방 쓰는 규칙과 주의사항 안내